5월 5일 런던시장 선거에서 사디크 칸(Sadiq Khan)이 뽑혔다. 1, 2차 선호 합계 57%의 압승이었다. 그는 파키스탄 이민자 2세로 무슬림이다. 그가 노동당 후보로 지명된 것이 지난해 9월, 그 뒤 11월에 파리에서 테러가 있었고 겨우 한달여 전, 올해 3월엔 브리셀에서도 폭탄테러가 있었다.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공포가 유럽을 휩쓸고 여전히 난민문제는 유럽 최고의 골칫거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런던의 시민들은 무슬림 출신 시장을 선택한 것이다. 

Sadiq Khan, Photo by The Guardian 

Sadiq Khan, Photo by The Guardian 

보수당 후보 작 골드스미스(Zac Goldsmith)는 억만장자 가문 출신에 환경주의자다. 현 카메론 영국 총리와 같은 이튼칼리지(Eton College)를 나온 전형적인 귀족풍 보수 정치인이다. 어울리지 않게 네거티브 캠페인에 일관했다. 인권변호사 출신의 사디크칸이 무슬림 극단주의자를 옹호했다는 것이다. '사디크 칸은 무슬림이다 !' 누구도 그렇게 외치지 않았지만 보수당 캠페인은 이슬람공포심(Islamophobia)을 조장하고 자극하려 했다. 

선거가 사디크 칸의 압승으로 끝나자 네거티브 캠페인이 패착이었다는 지적이 보수당 내부에서부터 터져나왔다. 후보의 장점과 매력은 살리지 못하고 보수당의 인종주의적 색채만 드러낸 역효과만 가져왔다는 것이다. 보수당이 인종주의를 경멸하는 영국인의 자존심을 건드린 것이다. 스스로도 역겨운 선거 운동이 부끄러웠다고 고백한다. 언론은 일제히, 런던 시민들은 그 직무를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을 뽑았을 뿐, 그가 무슬림인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았던 것 같다고 평가했다. 사디크 칸의 승리이기 전에 코스모폴리탄 도시, 런던의 승리라는 뜻이다. 오늘날 무슬림 국가 밖에서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곳은 런던이 유일할 것이다.

Zac Goldsmith, Photo by The Guardian

Zac Goldsmith, Photo by The Guardian

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런던 내 무슬림 규모는 13.1%에 이른다. 이들의 몰표로 이런 현상이 가능했을까? 그렇지는 않다. 런던은 파리(약 15%) 브뤼셀(약 20%) 심지어 맨체스터(15.8%) 보다도 무슬림 인구 비율이 낮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정확히 선거 일주일 전으로 돌아가 보자. 4월 28일, CitizensUK가 주최한 유력 런던시장 후보(작 골드스미스와 사디크 칸) 초청 메니페스토 대회가 열렸다. 해크니위크 퀸엘리자베스 올림픽 파크 실내체육관이다. 6,000명에 이르는 각종 시민단체, 공동체 멤버들을 초청한 행사였다. 

Mayoral Assembly by London Citizens (April 28), Photo by K.Ahn

Mayoral Assembly by London Citizens (April 28), Photo by K.Ahn

하이라이트는 이들 시민단체들의 정책 프리젠테이션, 몇 가지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London Living Wage (런던 생활임금 시간당 £9.4 적용 확대) 
   2. Good Jobs (청년 실업 문제 해소를 위한 교육/기업정책 제안)
   3. New Communities (난민수용 확대)
   4. Good Development Standard (지불가능한 적정주택 확보 50% 목표)
   5. Community Land Trusts (공동체토지신탁의 설립, 지원 획기적 확대)
   6. London Living Rent (적정 월세 정책 수립, 주택 공급 확대)
   7. Rogue Landlord Taskforce (악질 집주인 규제 기구 만들기)

핵심은 주택문제다. 15살의 조지는 학교 주변에 희번덕 거리는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는데 자기네 반 친구 누구도 그런 집에 살 형편이 안된다고 웅변한다. 크로이든(Croydon)에 사는 한 흑인 할머니는 어렸을 때 이민을 와 1984년에 방 2개 플랏을 단돈 5천파운드로 샀는데 그런 플랏이 지금 5십만파운드(약 9억)라 일갈한다. 자신의 다섯 아이들, 그 자식들의 8명의 손자들에게 지금 런던은 살 수가 없는 도시다.

Photo by K.Ahn

Photo by K.Ahn

두 시장 후보들은 무대 밖에 앉아 시민 단체들이 펼치는 프리젠테이션을 모두 듣고 나서야 무대에 올라 2분의 자기 발표의 기회를 얻는다. 그리고 CitizenUK의 리더들이 마이크를 잡고 하나 하나 다시 짚고 넘어간다. 그래서 하겠다는 건가? 안하겠다는 건가? 단답으로 직격한다. Yes 라는 답이 나올때까지 밀어 부친다. 그리고 예스가 떨어지면 군중들에게 한 번 더 외친다. '이 사람들이 실천하겠다고 했다' '모두가 증인이다' 쐐기를 박는다. 단순히 머릿수로 압박하는 군중이 아니다. 대회 참가 인원은 오히려 엄격하게 제한했다. 티켓을 가진 이는 공항식 검색대를 통과해야 출입할 수 있었다. 런던의 이슈를 구체화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집중했다.

특히 주목할 것은 CLT다. 1980년대, 지금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버니샌더스가 벌린턴 시장으로 있을 때 처음 도입한 이 아이디어가 지금 가장 유력하게 번지고 있는 곳이 런던이다. 이들이 제안한 목표는 2020년까지 런던에만 1000개, 2025년까지 5000개의 집을 CLT로 짓자는 것이다. 사실 CLT 하나를 제대로 운영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공공과 시민 사이의 신뢰와 협력, 파이넌싱 구조와 같은 시스템이 갖춰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부동산을 자본, 투자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공동체를 만들어 함께 살겠다는 사람들이 있어야 가능하다. 시민 스스로 자기 삶으로 책임 져야 하는 옵션이기도 한 것이다. 단순히 집을 많이 지어달라, 일자리 대책을 내놓으라, 하나마나 정책공약이 아니다.

Sadiq Khan, Photo by NewStatesman

Sadiq Khan, Photo by NewStatesman

인구 800만이 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도시 중의 하나인 영국 런던의 시장에 버스운전사 출신 파키스탄 이민자를 아버지로 둔, 사립학교는 꿈도 못꾼, 옥스브릿지 대학 출신도 아닌 평범하기 짝이 없어 보이는... 무슬림이 당선되었다. 런던 시민들은 웅변하는 것이다. 하나하나 자신들에게 필요한 정책 아이템을 짚어가며 이거 할 수 있니? 저건 할 수 있니? 따져 물었다. 그 일을 잘 수행할 만한 사람이 억만장자 아들에 고상한 젠틀맨은 아니라는 걸 일찌감치 알고 있었다. 이민자면 어떻고 무슬림이면 어떠냐는 것이다. 다양성으로 브랜딩 된 도시에 무슬림 시장이 더 잘 어울릴 수도 있다는 자신감이 있다. 이게 런던이다. 선거제도가 달라진 것도, 캠페인 수단이 특별난 것도 없이, 도시 공간의 특성이 낡은 관념을 간단히 건너 뛰어 버렸다. 

사디크 칸의 당선에 이어 브리스톨(Bristol)의 새로운 시장은 싱글맘과 난민캠프에서 자란 노동당 마빈 리즈(Marvin Rees)가 당선되었다는 소식이 이어졌다. 그는 버락 오바마와 같은 혼혈인이다. 작년 9월 당대표에 올라 이번 선거에서 첫 평가를 받게 된 제레미 코빈(Jeremy Corbyn) 노동당수는 스코틀랜드 의회에서 노동당이 제3당으로 추락하면서 개표 초반 한 때 궁지에 몰렸었지만 사디크 칸과 마빈 리즈로 기사회생(?) 했다. 그의 새로운 정치 메시지가 국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음을 두 도시가 증명한 것이다. 이제 정치와 선거에서 중요한 것은 스코틀랜드에서 누가 이겼냐, 전체 의석을 어느 당이 더 많이 가져갔냐가 아닌 듯 하다. 정치의 질감이 바뀐 느낌이다. 

3 Comments